어느덧 5월, 5월의 첫째주 기다리던 황금연휴가 다가왔습니다.
직장인들은 긴 연휴를 앞두고 여행을 계획하거나 오랜만에 푹 쉴 기대에 부풀어 있지만, 프랜차이즈 가맹점을 운영하는 자영업자들은 이야기가 다릅니다.
화려한 연휴 분위기와는 달리, 전국 곳곳의 프랜차이즈 점주들은 여전히 쉬지 못하고 일터를 지키고 있습니다.
통계청과 프랜차이즈 조사에 따르면, 국내 프랜차이즈 가맹점 27만여 개 중 무려 62.7%인 약 17만 개가 정기휴무일 없이 운영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그야말로 '그림의 떡'이 되어버린 황금연휴. 오늘은 왜 자영업자들이 연휴에도 쉴 수 없는지, 그 속사정을 깊이 들여다보려 합니다.
프랜차이즈 자영업의 무정기휴무 실태
편의점, 커피전문점, 제과점 등 생활 밀착 업종은 특히 심각합니다.
편의점의 경우 전체 5만4828개 점포 중 99.2%가, 커피·기타 비알코올음료점업은 81.4%가, 제과점은 78.3%가 정기휴무 없이 운영되고 있습니다.
이들 업종은 24시간 운영이 기본이거나, 연중무휴가 '상식'처럼 되어버린 업종입니다.
특히 편의점은 하루 14시간 이상 영업하는 비율이 99.7%에 달합니다.
이쯤 되면 하루 14시간 근무가 아니라, 24시간 영업과 근무가 기본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자영업자들은 왜 쉴 수 없을까?
자영업자들도 사람입니다. 가족과 시간을 보내고 싶고, 자신만의 휴식이 필요합니다.
하지만 현실은 절대 만만치 않습니다. 영세한 자영업자일수록 상황은 더욱 힘들어집니다.
- 인건비 부담: 아르바이트생을 고용하려면 인건비가 추가로 발생합니다. 최저임금 상승에 따른 부담이 커져, 결국 점주가 직접 매장을 지킬 수밖에 없는 구조가 됩니다.
- 임대료 고정지출: 가게 문을 닫아도 임대료는 나갑니다. 하루 쉬는 동안 매출이 '0'이 되지만, 고정비는 계속 지출됩니다. 그러다 보니 하루라도 더 문을 열어야 한다는 압박감에 시달리게 됩니다.
- 매출 경쟁: 주변 상권과 경쟁해야 하는 현실도 무시할 수 없습니다. 다른 점포들이 연휴에도 문을 열고 있을 때, 나만 쉰다면 단골고객까지 잃을 수 있다는 불안감이 큽니다.
자영업자의 현실, 건강과 삶의 질 하락
장시간 노동과 무휴 운영은 자영업자의 건강을 갉아먹습니다.
만성 피로, 스트레스, 정신 건강 문제는 물론, 가족과의 관계도 소홀해지기 쉽습니다.
최근 한국은행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자영업자의 평균 소득은 여전히 코로나19 이전 수준을 회복하지 못했습니다.
2022년 말 4131만원에서 2023년 말 4157만원으로 소폭 상승했지만, 2019년 수준인 4242만원에는 미치지 못하고 있는 것입니다.
수익은 정체되어 있는데 일은 더 많아졌고, 삶의 질은 오히려 후퇴한 셈입니다. 연휴는 분명 모든 이들에게 '쉼'을 주어야 합니다.
하지만 현실에서는 직장인과 자영업자의 휴식권이 극명하게 갈립니다.
편의점에서 일하는 점주가 연휴에도 하루 종일 계산대를 지키는 동안, 카페 사장이 아침부터 밤늦게까지 커피를 내리는 동안, 세상은 '즐거운 연휴'를 만끽하고 있습니다. 그들이 누리지 못한 휴식은 과연 누구의 몫이어야 할까요?
대책은 없을까?
정부와 사회 모두 자영업자의 현실을 외면해서는 안 됩니다.
한은은 자영업자 지원 정책을 상환 능력과 의지에 따라 맞춤형으로 적용해야 한다고 제안했습니다.
또한 프랜차이즈 본사 차원에서도 점주들에게 최소한의 정기휴무를 보장하거나, 순환 근무 제도를 도입해 자율적 휴식을 지원하는 방향을 고민해야 합니다.
소비자 역시 연휴에 불편함을 조금 감수하더라도, 자영업자들의 휴식권을 존중하는 문화가 필요합니다.
황금연휴가 모두에게 진정한 쉼이 되는 날이 오기를 바랍니다.
오늘도 대한민국의 일터를 지키는 모든 프랜차이즈 점주님들, 자영업자님들.
당신들의 수고를 잊지 않겠습니다.
잠시라도 고개를 들어 하늘을 보며, 작은 위로를 얻을 수 있기를 바랍니다.
'창업, 사업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외구매대행 창업 도전하는 왕초보 버전으로 총정리 (0) | 2025.05.08 |
---|---|
중년 창업의 모든 것 50세 이후 영업 용기와 조언 (0) | 2025.04.28 |
무점포 무재고 창업 시대 - 스마트스토어 머스트잇 아마존 바이마 (0) | 2025.04.28 |
2025 프랜차이즈 카페 창업 비용과 특징 총정리 (1) | 2025.04.27 |
2025 청년 창업지원금 종류와 조건 신청절차 트렌드 인기업종 (0) | 2025.04.25 |